2016년 4월 후원자명단
개인 정기 후원 강도영 강동훈 강두리 강두원 강민기 강병근 강상현 강성민 강지성 강하림 강한나 강현지 강혜진 강희주 강희철 고경민 고성민 고정항 고학수 고헌주 고환경 공수진…
난민 등 우리 사회의 취약한 이주민들의 인권을 옹호하고 해외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인권침해를 감시하는 일을 하는 비영리 공익변호사 단체입니다.
박해의 위험 때문에 본국에 돌아갈 수 없는 이주민을 위해 일합니다.
체류자격이 없다는 이유로 외국인 구금시설에 갇혀있는 이주민, 특히 이주 아동을 위해 일을 합니다.
취약성 때문에 속아서 또는 강제로 한국에 이주하여 성착취나 노동착취를 당하게 된 이주민을 위해 일합니다.
어느 국가에 의해서도 국민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이주민들을 위해 일합니다.
해외에 진출한 한국기업에 의해 인권침해를 당한 외국인을 위해 일합니다.
이주자들이 권리를 보장 받고 인권침해자들이 처벌 받을 수 있도록 법원이나 행정기관에 소송과 신청을 제기합니다.
개별적인 사건을 통해 얻은 통찰을 가지고 깊이 있는 연구를 하고 그 성과를 가지고 관련 법과 제도를 바꾸는 일을 합니다.
인식제고 활동을 통해 시민들의 마음에 공명이 일어나도록 합니다.
국내외 다른 단체와 협력하고 연대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유엔인권 메커니즘을 활용하는 등 창조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합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으로 운영이 되며, 수입과 지출은 투명하게 공개합니다.
개인 정기 후원 강도영 강동훈 강두리 강두원 강민기 강병근 강상현 강성민 강지성 강하림 강한나 강현지 강혜진 강희주 강희철 고경민 고성민 고정항 고학수 고헌주 고환경 공수진…
유엔인권정책센터에서 제4회 유엔인권정책 아카데미를 하는데, 내용이 무지 알차네요. 2016년 5월 한달 동안 매주 수요일 저녁 7시에 유엔인권정책센터 사무국 1층에서 한다고 하는데, 선착순으로 신청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테러위험론이 2016년 한국의 난민제도에 미치는 영향 – 공항난민신청, 탑승전사전확인제도 등을 중심으로(어필, 이일 변호사) 테러위험론이 2016년 한국의 난민제도에 미치는 영향 목차 1. 2015년 새롭게 한국사회에 등장한…
난민인 탈북자들의 적극적인 신원공개로 인간의 생명에 대한 보호보다 정략적 판단을 우선한 당국의 무책임한 행위를 비판한다. 통일부는 지난 8일 ‘집단 탈북 관련 브리핑’을 통해 ‘북한이 해외…
지난 3월의 끝자락 즈음, 어필은 법조공익모임 나우에서 주최하고 공익변호사모임에서 주관하는 제1회 공익입법아카데미에 참석했습니다. 공익입법아카데미라고 하면 많은 분들이 고개를 갸우뚱하실 수 있을 텐데요. 최근 공익단체들의 입법운동이…
개인 정기 후원 강도영 강동훈² 강두리 강두원 강민기 강병근 강상현 강성민 강지성 강하림 강한나 강현지 강혜진 강희주 강희철 고경민 고성민 고정항 고학수 고헌주 고환경 공수진…
피해자는 있는데, 책임물을 곳은 어디에도 없다? 한국의 00기업이 인도네시아 정부와의 협약 하에 인도네시아의 댐건설 공사를 진행중이라고 가정을 해봅니다. 그런데 댐 건설과정 중에 현지인들을 노동자로 고용하여 하루에 13시간이 넘는 노동을…
제13회 살롱 드 어필 후기 “정동재 교수님의 미국의 이주민 규제/처벌정책의 변화과정 분석” 해가 자신의 그 따사로운 존재감을 새삼 일깨워줬던 3월의 첫 금요일, 제13회 살롱드어필이 어필 공간 사이多에서 열렸습니다. 매서웠던…
사진 출처: 국제 앰네스티 우리가 매일 쓰는 전자제품의 충전 가능한 건전지에는 대부분 코발트가 원료로 쓰입니다. 이렇게 전 세계적으로 사용 되고 있는 코발트의 50%는 콩고민주공화국의 남부지역 코발트 광산에서 채굴…
변협 ‘명의’ 의견서에 대한 공익인권변호사 공동성명 대한변호사협회는 변협 ‘명의’ 의견서에 대해 답해야 합니다. 변협은 일부 집행부가 변협 ‘명의’를 이용해 특정정당 주문제작형 의견서를 발표한 것에 대해…
Twin Threats : How the Politics of Fear and the Crushing of Civil Society Imperil Global Rights ▲아프가니스탄 난민신청자 가족이 그리스의 레스보스섬 모리아 등록센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