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민지원네트워크 후기
어필은 4월 26일, 난민지원활동을 하는 여러 단체들이 모이는 난민지원네트워크에 다녀왔습니다. 아침 일찍부터 시작된 회의였지만 많은 분들이 참석해주셨습니다. 공감, 난민인권센터, 동천, 피난처, 휴먼아시아, 어필을 비롯하여 국가인권위원회와 유엔난민기구…
난민 등 우리 사회의 취약한 이주민들의 인권을 옹호하고 해외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인권침해를 감시하는 일을 하는 비영리 공익변호사 단체입니다.
박해의 위험 때문에 본국에 돌아갈 수 없는 이주민을 위해 일합니다.
체류자격이 없다는 이유로 외국인 구금시설에 갇혀있는 이주민, 특히 이주 아동을 위해 일을 합니다.
취약성 때문에 속아서 또는 강제로 한국에 이주하여 성착취나 노동착취를 당하게 된 이주민을 위해 일합니다.
어느 국가에 의해서도 국민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이주민들을 위해 일합니다.
해외에 진출한 한국기업에 의해 인권침해를 당한 외국인을 위해 일합니다.
이주자들이 권리를 보장 받고 인권침해자들이 처벌 받을 수 있도록 법원이나 행정기관에 소송과 신청을 제기합니다.
개별적인 사건을 통해 얻은 통찰을 가지고 깊이 있는 연구를 하고 그 성과를 가지고 관련 법과 제도를 바꾸는 일을 합니다.
인식제고 활동을 통해 시민들의 마음에 공명이 일어나도록 합니다.
국내외 다른 단체와 협력하고 연대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유엔인권 메커니즘을 활용하는 등 창조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합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으로 운영이 되며, 수입과 지출은 투명하게 공개합니다.
어필은 4월 26일, 난민지원활동을 하는 여러 단체들이 모이는 난민지원네트워크에 다녀왔습니다. 아침 일찍부터 시작된 회의였지만 많은 분들이 참석해주셨습니다. 공감, 난민인권센터, 동천, 피난처, 휴먼아시아, 어필을 비롯하여 국가인권위원회와 유엔난민기구…
종교적인 이유로 고문을 당한다고 하면서 난민을 신청한 우즈베키스탄 사람이 한국 정부에 의해 지난 3월 21일 우즈베키스탄으로 강제송환 된 이후 4월 14일 현재까지 행방을 알 수 없습니다. 다행이 살아 있다면…
어필과 협력하여 난민 사건과 기타 기획 소송 등을 진행해주실 프로보노 변호사님들과의 역사적인 첫번째 미팅이 2012년 2월 19일 공익법센터 어필 회의실에서 열렸습니다. 왼쪽 부터 조성국,…
[한겨레] 삼성이 인간과 환경에 가장 많은 해를 끼친 기업을 선정하는 ‘퍼블릭 아이(public eye) 상’ 후보에 올랐다. 환경단체인 그린피스 스위스와 스위스 시민단체인 ‘베른 선언’이 세계 시민단체들한테…
올해 10월에 있을 한국 UPR 심의에 대비하여 시민사회의 NGO 보고서 제출 등 활동에 대한 논의를 하기 위한 전체 워크샵입니다. (보고서는 3월 26일 마감입니다.) 관심있는 모든…
어필 외 많은 난민 관련 인권시민사회단체들이 추진해 온 난민법안이 몇년 만에 통과되었습니다. 유엔난민기구(UNHCR) 한국대표부는 국회가 지난달 29일 본회의에서 처리한 ‘난민 등의 지위와 처우에 관한 법률'(난민법)에…
싸면 장땡이! 혹자에게는 옷을 살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디자인이 될수도 있겠고 혹자에게는 브랜드가 될수도 있겠습니다만 많은 사람에게 (특히 저에게) 늘 가장 중요한 것은 가격이었던…
지난 12월 23일 4시, 어필 식구들은 프로젝트 극단 파전(破前)의 공연 ‘매직타임’을 관람하기 위하여 서울대학교 두레문예관을 찾았습니다. 파전은 기존의 예술이 담아내지 못했던, 그리고 이른바 ‘장애인 예술’ 역시…
어필과 민변은 공동으로 내년 10월에 있을 2차 한국 UPR 준비를 위한 인권시민사회단체 간담회를 준비하였습니다. 오랫동안 OHCHR에서 UPR 관련 일을 해오신 우종길 사무관을 모시고 어떻게 인권시민단체들이…
2011년 11월 30일, 전세계 주요도시에서 SHWE가스 반대 국제공동행동의 날(Global Action day against SHWE GAS PROJECT)이 개최되었습니다. 한국에서는 이 프로젝트의 최다 지분을 보유하고 사업을 주도하고 있는…
홍콩에서 진행한 난민정신건강 워크숍(11/9-11)에 이어 다음날인 12일에는 ‘난민이 경험하는 난민 정책의 실제’를 주제로 홍콩대학교에서 심포지엄이 열렸습니다. APRRN(Asia Pacific Refugee Rights Networks)의 동아시아 활동가들이 모여 각자 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