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기] 유엔농민권리선언포럼 제2차 토론회 후기
10월 7일, 국가인권위원회 10층 교육실 배움터에서는 “기본권으로서의 농민권리 : 실행과 연대를 위한 방안”이란 이름으로 유엔농민권리선언포럼이 주최한 제2차 토론회가 열렸습니다. 2018년 12월 UN제 55차 본회의에서…
난민 등 우리 사회의 취약한 이주민들의 인권을 옹호하고 해외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인권침해를 감시하는 일을 하는 비영리 공익변호사 단체입니다.
박해의 위험 때문에 본국에 돌아갈 수 없는 이주민을 위해 일합니다.
체류자격이 없다는 이유로 외국인 구금시설에 갇혀있는 이주민, 특히 이주 아동을 위해 일을 합니다.
취약성 때문에 속아서 또는 강제로 한국에 이주하여 성착취나 노동착취를 당하게 된 이주민을 위해 일합니다.
어느 국가에 의해서도 국민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이주민들을 위해 일합니다.
해외에 진출한 한국기업에 의해 인권침해를 당한 외국인을 위해 일합니다.
이주자들이 권리를 보장 받고 인권침해자들이 처벌 받을 수 있도록 법원이나 행정기관에 소송과 신청을 제기합니다.
개별적인 사건을 통해 얻은 통찰을 가지고 깊이 있는 연구를 하고 그 성과를 가지고 관련 법과 제도를 바꾸는 일을 합니다.
인식제고 활동을 통해 시민들의 마음에 공명이 일어나도록 합니다.
국내외 다른 단체와 협력하고 연대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유엔인권 메커니즘을 활용하는 등 창조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합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으로 운영이 되며, 수입과 지출은 투명하게 공개합니다.
10월 7일, 국가인권위원회 10층 교육실 배움터에서는 “기본권으로서의 농민권리 : 실행과 연대를 위한 방안”이란 이름으로 유엔농민권리선언포럼이 주최한 제2차 토론회가 열렸습니다. 2018년 12월 UN제 55차 본회의에서…
1. 성심여자중학교 학생 및 선생님 공익법센터 어필 방문 9월 4일, 공익법센터 어필에 성심여자중학교에서 학생 분들과 선생님이 찾아오셔서 어필의 활동에 대해서 강연을 들으셨습니다. 활기찬 학생들의 에너지로…
2019년 8월 27일 화요일, 공익법센터 어필에서 이전과 조금 다른 살롱드어필이 사이다에서 열렸습니다. 전쟁없는세상, 주한미군범죄근절운동본부, 기지촌여성인권연대에서 주로 군사주의와 군사기지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지금은 녹색당 전국사무처장으로 활동 중인…
정신영 변호사는 2019년 7월 24일부터 26일까지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기업의 영향력과 면책특권을 해체하고 민중의 주권을 회복하기 위한 글로벌 캠페인(Global Campaign to Reclaim Peoples Sovereignty, Dismantle…
2019년 6월 2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유엔 농민과 농어촌노동자 권리선언 포럼 발족식 및 실천전략 토론회>가 열렸습니다. 이 날 농민단체, 연구자, 시민단체 등이 한 자리에 모여…
2019년 6월 4일 남영동 민주인권기념관에서 진행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인권센터 주관 인권정책협의회에 다녀왔습니다. 어필의 이일 변호사는 한국 사회 난민 혐오의 배경과 전망 및 어떤 연대적 대응이 필요한지에…
4월 26일 금요일 오후, 어필은 작가로, 환경 운동가로, 동물권 활동가로 부지런히 활약하고 있는 김한민 활동가를 살롱드어필에 초청해 이야기 듣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그 날 강의의…
2013년 7월 9일, 부산지방해양항만청 앞, 어선원 이주노동자 차별에 반대하는 집회에 전시된 피켓. 그로부터 약 6년이 흘렀지만 어선원 이주노동자 도입과정에서 송출비용과 어선원 이주노동자에 대한 차별은 근절되기는커녕…
인도네시아 한국기업의 인권침해 해결촉구 한국-인도네시아 동시행동 – 도망간 한국기업주는 즉각 노동자 앞에 서라 – 지난 3월 7일, 문재인 대통령은 인도네시아 한국기업 SKB에서 발생한 임금체불 사태를…
2019년 3월 6일 오후, 어필 사무실 사이다에서는 19번째 살롱드어필이 열렸습니다. ‘강제이주와 토지강탈: 인도네시아로부터 배우다’라는 제목으로 열린 이번 살롱드어필에서는 단순히 ‘돈을 벌러’ 한국으로 온다는 이야기를 듣는…
“그날은 (7월) 23일이었어요. 저녁 8시에서 9시 사이었어요. 마을 사람들이 나와서 막 소리쳤죠. 이제 물이 오기 시작해서 도망쳐야 된다. 도망쳐야 돼! 그러면서 동시에 물도 막…
수 신 각 언론사 정치부․사회부 발 신 난민인권네트워크 · 제주 난민 인권을 위한 범도민 위원회 (담당 : 제주난민인권을 위한 범도민 위원회 김성인 상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