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내 티베트인들-그들은 왜 숨겨진 사람들이 되었나?
대만에 있는 티베트 사람들 – 그들은 왜 숨겨진 사람들이 되었나? (Why is this group of Tibetans hidden?) 대만은 새롭게 난민법을 제정했습니다. 그러나 난민법의 적용대상이…
난민 등 우리 사회의 취약한 이주민들의 인권을 옹호하고 해외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인권침해를 감시하는 일을 하는 비영리 공익변호사 단체입니다.
박해의 위험 때문에 본국에 돌아갈 수 없는 이주민을 위해 일합니다.
체류자격이 없다는 이유로 외국인 구금시설에 갇혀있는 이주민, 특히 이주 아동을 위해 일을 합니다.
취약성 때문에 속아서 또는 강제로 한국에 이주하여 성착취나 노동착취를 당하게 된 이주민을 위해 일합니다.
어느 국가에 의해서도 국민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이주민들을 위해 일합니다.
해외에 진출한 한국기업에 의해 인권침해를 당한 외국인을 위해 일합니다.
이주자들이 권리를 보장 받고 인권침해자들이 처벌 받을 수 있도록 법원이나 행정기관에 소송과 신청을 제기합니다.
개별적인 사건을 통해 얻은 통찰을 가지고 깊이 있는 연구를 하고 그 성과를 가지고 관련 법과 제도를 바꾸는 일을 합니다.
인식제고 활동을 통해 시민들의 마음에 공명이 일어나도록 합니다.
국내외 다른 단체와 협력하고 연대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유엔인권 메커니즘을 활용하는 등 창조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합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으로 운영이 되며, 수입과 지출은 투명하게 공개합니다.
대만에 있는 티베트 사람들 – 그들은 왜 숨겨진 사람들이 되었나? (Why is this group of Tibetans hidden?) 대만은 새롭게 난민법을 제정했습니다. 그러나 난민법의 적용대상이…
(image source: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9593864&ctg=1000) Korean Minting and Security Printing Corporation (KOMSCO), a public enterprise, was found to produce the cotton pulp with the cotton harvested by…
(2012년 9월 25일 변호사교육문화회관에서) 지난 9월 25일 공익변호사 그룹 공감 주최로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공익변호사 라운드 테이블이 열렸습니다. 공감 뿐 아니라 동천, 희망법, 퍼블릭 법률사무소의 공익변호사들이 공익변호사 단체의 설립과정과 향후 계획에 대해서 발표를 하였고, 로스쿨 학생들 뿐 아니라 공익변호사를 꿈꾸는 많은 분들이 참석하셨습니다. 어필에서는 김종철 변호사가 어떻게 일을 시작했고 지난 2년 동안 어떻게 일을 해왔는지 이야기 하였습니다. 1. “난민들에게 더 나은 이야기를 살도록 도움을 주는 것을 통해 내가 더 나은 이야기를 살…
2012 동아시아 난민회의 East Asia Symposium 지난 10월 29일 대만에서 동아시아 난민회의가 열렸습니다. 세션 1,2 에서는 강제이주, 인신매매 등의 개념과 실태, 한국과 대만의 난민법을, 세션…
난민, 난민신청자 및 인신매매 피해자의 보호에 대한 워크샵 2012. 10. 27 @대만 변호사 협회 by Martin Jones 난민의 국제적 보호- 법, 정책, 관습 며칠 전 네이버 검색어 1위가 “난민법…
난민, 난민신청자 및 인신매매 피해자의 보호에 대한 워크샵 2012. 10. 28 @대만 변호사 협회 by Martin Jones/ Grant Mitchell [이주구금 – 접근, 모니터링 및 대안에 대한 모색] I. 난민, 난민신청자, 이주자 및…
난민(refugee)이란? 1951 유엔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 (또는 난민협약)과 1967 의정서에 정의에 따르면, 난민이란 “인종, 종교, 국적, 특정사회집단의 구성원 신분 또는 정치적 의견을 이유로 박해를 받을 우려가 있다는 합리적인 근거 (well-founded)가 있는 공포로 인하여, 자신의 국적국 밖에 있는 자로서, 국적국의 보호를 받을 수 없거나, 또는 그러한 공포로 인하여 국적국의 보호를 받는 것을 원하지 아니하는 자; 또는 그러한 사건의 결과로 인하여 종전의 상주국 밖에 있는 무국적자로서, 상주국에 돌아갈 수 없거나, 또는 그러한 공포로 인하여 상주국으로 돌아가는 것을 원하지 아니하는 자” 입니다. 오늘날 전세계 난민 인구 유엔난민기구(UNHCR)에 의하면, 2011년 현재 전세계의 난민의 수는 1천만 명이 넘으며, 그 외에도 내전 등의 이유로 생명의 위협을 느껴 고향을 떠났지만 아직은 본국에 머물고 있어서 난민협약상의 난민의 개념에서는 제외되는 이른바 국내난민 또는 국내실향민(Internationally Displaced Persons, 또는 IDPs)이 전세계적으로 약 2천 6백만 명 정도 존재합니다. (See UNHCR Global Trends 2011: http://www.unhcr.org/pages/4fd9a0676.html) [1]이는 유엔난민협약이나 1967 의정서 그리고 1969 OAU 의정서의 정의에는…
2012년 11월 23일 오후 3시, 공익법센터 어필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살롱 드 어필이란? ‘살롱’은 프랑스어로 ‘거실’이라는 뜻입니다. 그러면 거실에서 무엇을 했을까요? 시인, 작가, 예술 애호가들이…
매일 꿈꾸고 매일 꿈을 이루며 사는 변호사들.. -인권 포럼 난민지원과 변호사의 역할 후기 젊은 시절에는 누구나 한번쯤 자신의 삶의 발자취가 누군가에 도움을 주는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