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신매매법안(김춘진 의원) 비교
김춘진 의원(민주통합당)이 18대에 이어서 19대에서도 지난 2012년 12월 7일 인신매매처벌, 방지, 피해자 보호에 관한 법률안을 대표 발의하였습니다(http://www.assembly.go.kr/renew10/info/law/lastacceptbill_list.jsp) 19대에서 제출한 법안은 18대 당시의 법사위 검토 의견서를…
난민 등 우리 사회의 취약한 이주민들의 인권을 옹호하고 해외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인권침해를 감시하는 일을 하는 비영리 공익변호사 단체입니다.
박해의 위험 때문에 본국에 돌아갈 수 없는 이주민을 위해 일합니다.
체류자격이 없다는 이유로 외국인 구금시설에 갇혀있는 이주민, 특히 이주 아동을 위해 일을 합니다.
취약성 때문에 속아서 또는 강제로 한국에 이주하여 성착취나 노동착취를 당하게 된 이주민을 위해 일합니다.
어느 국가에 의해서도 국민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이주민들을 위해 일합니다.
해외에 진출한 한국기업에 의해 인권침해를 당한 외국인을 위해 일합니다.
이주자들이 권리를 보장 받고 인권침해자들이 처벌 받을 수 있도록 법원이나 행정기관에 소송과 신청을 제기합니다.
개별적인 사건을 통해 얻은 통찰을 가지고 깊이 있는 연구를 하고 그 성과를 가지고 관련 법과 제도를 바꾸는 일을 합니다.
인식제고 활동을 통해 시민들의 마음에 공명이 일어나도록 합니다.
국내외 다른 단체와 협력하고 연대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유엔인권 메커니즘을 활용하는 등 창조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합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으로 운영이 되며, 수입과 지출은 투명하게 공개합니다.
김춘진 의원(민주통합당)이 18대에 이어서 19대에서도 지난 2012년 12월 7일 인신매매처벌, 방지, 피해자 보호에 관한 법률안을 대표 발의하였습니다(http://www.assembly.go.kr/renew10/info/law/lastacceptbill_list.jsp) 19대에서 제출한 법안은 18대 당시의 법사위 검토 의견서를…
아래의 보고서는 지난 12월 13일(2012년) 한국을 방문해 우즈벡 목화 밭에서의 아동 노동과 관련 세미나에서 발표(링크)하고 한겨례 신문(링크)과도 인터뷰 한 바 있는 매튜 피셔 달리(코튼캠페인 코디네이터)가 9월에…
2012년 11월 재정보고 수입 정기 개인 8,418,700 단체 3,680,000 비정기 개인 1,200,000 단체 200,000 결산 13,498,700 지출 인건비 상근자 급여 4,000,000 4,400,000 퇴직금 적립 400,000…
국제적인 환경단체인 환경정의재단(Environmental Justice Foundation)에서 2005년에 제작한 우즈벡 목화 – White Gold에 대한 영상입니다. 아랄해의 변화, 지역 사회의 경제구조를 초래한 우즈벡 목화재배의 문제점 및 2005년도에…
“쌍용자동차, 연금펀드 그리고 사회책임투자” 쌍용자동차의 대량 해고, 삼성전자의 백혈병, 대우인터내셔널의 우즈벡 아동강제노동, 사조오양의 인도네시아 선원들에 대한 착취…. 대기업과 다국적 기업의 환경 침해와 인권침해의 가능성은 날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를…
During October 2011, after the U.N. Committee on the Right of Child deliberated on forced child labor happening in Uzbekistan cotton fields and the connection…
2011년 10월 한국에 대한 유엔아동위원회의 심의에서 불거져 나온 뒤로 어필에서는 우즈벡 목화농장에서 일어나는 아동강제노동 실태와 한국기업의 연루에 대해 주목해 왔습니다. Cotton Campaign과 연대 활동을 하면서 한국의…
공익변호사그룹 공감, 공익인권변호사모임 희망을 만드는 법, 국제민주연대,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사회진보연대,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전국민조노총, 좋은기업센터와 공익법센터 어필은 사조오양에 대한 최근의 부산지검의 불기소처분에 대해서 아래와 같은 성명서를…
국회의원의 쓸모는 어디 있는가? 시민단체에서 국회 100% 활용하기 협력하기! 예산을 결정하고, 법을 만들며, 국가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막강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 국회의원. 그러나 수백, 수천 개의 정부기관과 법률을 국회의원 혼자 감당할…
얼마 전, 한 한국인이 성적 성향과 병역 거부를 사유로 캐나다에서 난민 지위를 인정받았다는 기사로 세간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아마 그때만 해도 저를 포함한 여러분들께서는 “한국인이 다른 나라에서 난민이라고? 놀랍군!”…
2013년 7월 난민법 시행을 앞두고 있습니다. 난민법이 제정되기는 했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모습으로 시행이 될지 기대 반 우려 반입니다. 특히 난민법을 구체화 하는 시행령이 어떠한 모습을 갖출 것인지가 관건입니다.…
한국은 2011년에 유엔아동권리위원회와 여성차별철폐위원회로 부터 관련 협약 이행과 관련해 심의와 권고를 받았습니다. 어필을 비롯한 시민사회단체들도 보고서를 제출하고 로비를 하면서 좋은 권고를 받기 위해 애를 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