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M 발행 용어집
IOM에서 발행한 용어집을 첨부합니다.
난민 등 우리 사회의 취약한 이주민들의 인권을 옹호하고 해외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인권침해를 감시하는 일을 하는 비영리 공익변호사 단체입니다.
박해의 위험 때문에 본국에 돌아갈 수 없는 이주민을 위해 일합니다.
체류자격이 없다는 이유로 외국인 구금시설에 갇혀있는 이주민, 특히 이주 아동을 위해 일을 합니다.
취약성 때문에 속아서 또는 강제로 한국에 이주하여 성착취나 노동착취를 당하게 된 이주민을 위해 일합니다.
어느 국가에 의해서도 국민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이주민들을 위해 일합니다.
해외에 진출한 한국기업에 의해 인권침해를 당한 외국인을 위해 일합니다.
이주자들이 권리를 보장 받고 인권침해자들이 처벌 받을 수 있도록 법원이나 행정기관에 소송과 신청을 제기합니다.
개별적인 사건을 통해 얻은 통찰을 가지고 깊이 있는 연구를 하고 그 성과를 가지고 관련 법과 제도를 바꾸는 일을 합니다.
인식제고 활동을 통해 시민들의 마음에 공명이 일어나도록 합니다.
국내외 다른 단체와 협력하고 연대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유엔인권 메커니즘을 활용하는 등 창조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합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으로 운영이 되며, 수입과 지출은 투명하게 공개합니다.
8월 31일 UNHCR (유엔난민기구)와 IOM (국제이주기구) 주최로 열린 난민의 정신 건강 공개강좌에 참석하였습니다. 무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많은 분들이 아침 일찍부터 국가인권위원회 8층에 모여서 열정적으로 강의를 듣고 질문을 하였습니다. 인상적이었던 것은 동시통역을 제공하지만 통역기를 꽂고 들으시는 분이 거의 없었다는 것과 자유롭게 영어로 질의 응답이 이루어지는….영어 강국 대한민국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것이었습니다~그리고 한가지 더 놀랐던 것은 참석자 대부분이…
국제이주기구 IOM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에서 피해자 지원을 위한 핸드북을 발간 하였습니다. IOM은 1994년부터 전세계적으로 인신매매 방지와 피해자 보호 및 사회 재통합 지원 사업을 벌여오고 있습니다. (자료는 IOM에 문의하여 받을 수 있습니다. http://www.iom-mrtc.org/) *여기서 잠깐! 인신매매 피해자도 난민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없다? 핸드북 3장 연계와 재통합 지원에 보면 난민의 지위에 관현 협약에 따라, 출신국으로 부터 박해를 받을지도 모르는 인신매매 피해자들은 난민 지위를…
김춘진 의원실과 IOM이 공동 주최합니다. 장소는 국회의원회관 간담회실 130호이고 일시는 5월 12일 오후 2시입니다.